2024년 전기차 무상 특별안전점검이 14개 제작사의 참여로 확대되었습니다. 현대, 기아, 벤츠를 포함한 다양한 브랜드가 참여하며, 배터리 안전성 점검과 BMS 업데이트, 리콜 조치까지 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부터 점검 대상 차종, 세부 일정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전기차 소유자라면 꼭 필요한 정보를 통해 안전한 운행을 위한 필수 점검을 놓치지 마세요.
전기차 무상 안전점검 주요 내용
이번 전기차 무상 특별안전점검은 2011년 이후 판매된 약 90여 종의 전기차가 대상입니다. 주요 점검 항목과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외관 및 고전압 배터리 안전 점검: 차량의 외관 손상 여부 및 배터리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고, 이상이 발견될 경우 즉시 수리를 진행합니다.
-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업데이트: 최신 버전이 아닌 BMS가 설치된 차량은 최신 버전으로 시스템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리콜 조치 병행: 과거 리콜 통보를 받았지만 아직 조치되지 않은 차량도 이번 점검에서 리콜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제작사별 세부 일정
제작사마다 점검 기간이 상이하므로, 본인의 차량에 해당하는 점검 일정을 확인해 주세요.
제작사 | 대상 | 차종점검 기간 | 비고 |
현대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8일 ~ 종료 시까지 | |
기아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9일 ~ 12월 31일 | |
한국지엠(GM) | 모든 차종 | 2024년 9월 23일 ~ 12월 31일 | |
르노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30일 ~ 12월 31일 | |
KG모빌리티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16일 ~ 11월 15일 | |
테슬라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30일 ~ 12월 31일 | |
BMW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27일 ~ 10월 26일 | |
벤츠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14일 ~ 12월 31일 | 롤스로이스, MINI 포함 |
폭스바겐 | 모든 차종 | 연중 상시 무상점검 | 아우디 포함 |
폴스타 | 모든 차종 | 2024년 9월 2일 ~ 2025년 3월 3일 | |
포르쉐 | 모든 차종 | 2024년 10월 1일 ~ 12월 31일 | |
볼보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19일 ~ 2025년 2월 18일 | |
스텔란티스 | 모든 차종 | 2024년 9월 9일 ~ 종료 시까지 | |
토요타 | 모든 차종 | 2024년 8월 21일 ~ 9월 30일 |
전기차 무상 안전점검 신청 방법
무상 안전점검을 받기 위해서는 서비스센터에서 예약 후 방문해야 합니다. 각 제작사의 고객센터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예약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제작사별 점검 일정 확인
먼저, 본인의 차량이 속한 제작사의 점검 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점검 기간은 제작사별로 다르니, 해당 기간을 반드시 확인한 후 예약을 진행하세요.
2. 예약 방법
다음 절차를 따라 서비스센터에서 예약을 진행합니다:
- 서비스센터 위치 확인: 각 제작사의 고객센터 또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서비스센터 위치 및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 예약 문의: 가까운 서비스센터에 전화로 예약 문의를 하거나,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예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약 시 차량 정보(차종, 연식, 차량 번호 등)를 준비하여 전달해야 합니다.
- 전화 예약: 각 제작사 고객센터로 전화를 걸어 무상 안전점검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예약: 일부 제작사는 공식 웹사이트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운영 중이니 이를 활용하세요.
3. 서비스센터 방문 및 점검 진행
예약이 완료되면, 예약된 날짜와 시간에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여 점검을 받으면 됩니다. 점검은 차량의 외관 및 고전압 배터리 안전성을 검사하며, 필요 시 BMS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리콜 대상 차량의 경우, 리콜 조치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차 무상 특별안전점검의 중요성
이번 전기차 무상 특별안전점검은 배터리 화재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전기차 운전자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전기차 소유자는 반드시 제작사별로 제공되는 점검 기간을 확인하고, 무상 안전점검과 필요한 업데이트를 통해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마시고 가까운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제공되는 점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전기차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기업들의 배터리 안전관리 책임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입니다.